SOONCHUNHYANG INDUSTRY-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지난 28일 순천향대 김승우 총장(중앙)이 입주기업 육성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순천향대학교가 지난 달 29일 대학 내 산학연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해 다양한 전문기업·기관과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산학협력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밝혔다.최근 순천향대는 지역의 첨단산업 산학연 생태계 구축·확산을 위해 ▲TS인베스트먼트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천안아산센터 등 국내 창업 투자기업 및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 관계 구축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주요 협력내용은 ▲유망 창업기업, IPO 유망기업 발굴 및 추천 ▲추천 유망기업에 대한 기술사업화·경영컨설팅·기업투자 ▲캠퍼스혁신파크 내 전담사무소 설치 등 캠퍼스혁신파크 조성과 이의 활성화를 위한 입주기업 성장지원과 활동 지원이다.또한, 지난 28일 순천향대는 ㈜모비젠(대표 김태수)으로부터 지능형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IRIS’를 기증받고, ‘IRIS’를 활용한 산학 공동프로젝트 수행과 모빌리티, 의료정보 등 관련 분야 빅데이터 분석을 비롯한 다양한 공동 연구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김승우 총장은 “캠퍼스혁신파크 사업의 성공 여부는 국가와 지자체 지원으로 조성되는 산업단지 인프라 구축도 물론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훌륭한 사업 운영 파트너십이 관건”이라며 “대학과 VC, 기업, 그리고 지역기관과의 네트워크 확장을 통해 성공적인 산학협력모델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 바로가기* 링크를 클릭하시면 팝업창으로 기사내용이 게시됩니다.
2022.05.18지역·대학 공유 연계모델 기반 산학연일체형 혁신 허브 구축 목표순천향대(총장 김승우)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3.0)’에 ‘수요 맞춤 성장형 유형’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LINC(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3.0은 기존 LINC+ 사업의 후속으로 2022년부터 2027년까지 교육부가 주관하고 한국연구재단이 시행하는 사업으로 2022년 사업예산만 총 4070억 원에 달한다. 기술혁신 선도형을 비롯, 수요 맞춤 성장형, 협력기반 구축형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해 대학의 산학연협력 활동을 지원한다.이번 선정으로 순천향대는 6년간(3년+3년) 총 240억 원을 지원받아 국가 산업발전의 핵심 분야인 빅3(반도체·미래차·바이오) 중 대학 특성화 기반 Medicine 분야와 지역 특성화 기반 Mobility 분야의 빅2(Medicine & Mobility, 이하 M&M) 분야에 집중해 산학연 일체형 혁신 허브 구축을 통한 산학협력 선도 모델을 이뤄낼 계획이다.순천향대 LINC 3.0 사업단에는 ▲Medicine 분야 의료과학대학 ▲Mobility 분야 공과대학 ▲M&M 분야를 연결하는 SW융합대학·SCH미디어랩스 ▲4단계 BK21사업 4개 대학원 소속 학과를 포함해 총 33개 학과(학부 27개, 대학원 6개)가 참여한다.Medicine 분야는 30개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는 ㈜순천향대기술지주회사를 활용해 기술 창업을 활성화하고 4개 부속병원과 순천향의생명연구원 인프라를 활용해 연구성과 기반의 스타트업과 연계한 산학연 협력브랜드를 창출한다.Mobility 분야는 메가 충청의 주력산업으로서 대학 인근에 현대자동차, 삼성반도체 등 대기업과 1차, 2차 협력업체들이 우수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어 Mobility 산업 생태계와 연계한 산학연 공동 인력 양성과 개방형 혁신을 통한 공동 기술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특히, 사업단은 4차 산업혁명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TLST 자기주도 학습 기반 산학연 혁신 교육인 “i-SCHooler(Industry+School) 교육모델”을 구축하고, 신산업 분야의 경쟁력을 갖춘 거장 MAESTRO(M&M, Ace, Experience, Self Teaching, Together, Relationship, O2O HyFlex)를 양성하기 위해 ▲취창업 연계 융복합 교육 ▲학생 기업 실전 체험교육 ▲창의 캡스톤디자인 교육 ▲융합 창업 실전체험 교육 등 대학과 현장에서의 다양한 실전 학습과 창업 및 기업 체험교육을 운영한다.김승우 총장은 “대학구성원이 한마음으로 준비해 권역 단위 평가에서 우선 선정되는 좋은 결과가 나온 것 같다”며 “우리 대학은 기업과 함께 협력하는 환경을 구축하고 기업이 찾아오는 대학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우수한 산학연협력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김창희 기자출처 : 문화일보,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20428MW160427165575
2022.05.18김승우 순천향대 총장과 김용목 한국폴리텍대학교 아산캠퍼스 학장이 18일 협약 체결 후 양기관 참석자와 함께 기념촬영하고 있다. /제공=순천향대학교아산 이신학 기자 = 순천향대학교가 한국폴리텍대학 아산캠퍼스와 캠퍼스혁신파크 인프라 기반 미래 선도 산업 기술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19일 순천향대에 따르면 이번 협약은 적극적인 교류 증진을 바탕으로 미래 선도산업 기술을 공유하고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협력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핶다.양 기관은 협약에 따라 통해 △반도체 △XR(eXtended Reality) △메타버스 △모빌리티 분야의 미래 선도 산업 기술을 활용한 산학 공동 연구개발, 기술사업화, 혁신 인재 양성, 정주형 학생 복지 확대 등 모범적인 산학협력 기반을 구축할 예정이다.특히, 자동차·반도체, 안전·의료 산업의 기술 개발과 발전을 위해 양 대학은 전문인력 양성과 대학 보유 혁신자원 공동 활용 활성화, 그리고 관련 부문의 미래 첨단 산업 유치를 위해 공동 노력하며, 순천향대에서 추진하는 캠퍼스혁신파크의 인프라 조성과 미래 선도산업 육성을 위해 적극적인 협력을 약속했다.김승우 총장은 “우리 대학은 지역의 미래 자동차 R&D 인프라와 부속 천안병원의 스마트병원과 비대면 헬스케어, 바이오 헬스 기술 인프라를 연계해 R&D 캠퍼스혁신파크를 더욱 확대하고자 한다”며 “양 대학은 차별화되고 특화된 교육과정을 활용해 지역공유대학의 훌륭한 산학연 협력 모델을 제시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순천향대는 AR·VR, MR 등 Industry 4.0 기술을 활용한 실감형 교육 콘텐츠와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구축, 지역 혁신산업인 모빌리티 분야 ‘스마트휴먼인터페이스’ 전공 운영 등 다방면에서 미래 선도 산업 기술을 바탕으로 한 대학교육의 뉴 노멀을 이끌어가고 있다.출처 :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20419010010619
2022.05.18우리대학 의료생명공학과를 졸업한 후 순천향의생명연구원 의생명융합학과에 박사과정으로 재학 중인 정지훈 (28, 사진)학생이 2022년도 대한내분비학회에서 우수연제상을 수여받았다. 정지훈 학생은 순천향의생명연구원 의생명융합학과 황용성 교수 연구실 (줄기세포 & 생체재료공학 연구실)에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김상헌 박사 연구팀, 우리대학 천안병원 이비인후과 박재홍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 융합연구를 수행하고 있다.해당 연구에서는 세포-기질/세포-세포의 상호작용을 조절할 수 있는 성장유도인자가 부착된 생체재료 기반으로 환자조직유래 줄기세포로부터 인슐린을 분비하는 베타세포로의 분화 및 기능 고도화를 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정지훈 학생은 “황용성 지도교수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김상헌 박사님, 천안병원 박재홍 교수님께 감사드린다.”며, 이번 ‘대학내분비학회 우수연제상’ 선정으로 현재 황용성 교수 (지도교수)가 그룹리더로 참여하고 있는 지역혁신선도연구센터 (연구책임자: 이종순 교수) 과제 내의 베타세포 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당뇨병 치료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고 밝혔다. 한편, 정지훈 학생은 순천향의생명연구원 재학 중 황용성 교수 연구팀에서 제1 저자 2편, 참여저자 3편의 SCI급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는 등 탁월한 연구성과를 인정받아 국내 의생명과학 분야에서 권위 있는 장학 사업인 ‘2022년도 아산사회복지재단’ 장학생에 선정된 바 있다.
2022.05.16부천병원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단(단장: 순천향대 부천병원 비뇨의학과 김영호 교수)이 여성 재발성 방광염은 단순히 한 종류가 아닌 세 종류의 미생물 생태계가 방광 내에 구성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혀.. 이번 연구 결과는 항생제 내성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성 재발성 방광염 치료’의 실마리를 제시하는 중요한 발견.. 이번 연구는 순천향대 부천병원 비뇨의학과 김영호·김웅빈 교수, 소화기내과 유정주·유창범 교수, 진단검사의학과 신희봉 교수, 대장항문외과 신응진 교수 등다학제 연구진으로 구성된 ‘순천향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단(Soonchunhyang Microbiome Multi-Disciplinary Study Group, SMS)’이 수행했으며, SCI급 국제학술지 ‘임상의학저널(Journal of Clinical Medicine)’에 ‘Gardnerella vaginalis in Recurrent Urinary Tract Infection Is Associated with Dysbiosis of the Bladder Microbiome(IF 4.2)’이라는 논문 제목으로 최근 발표..관련 기사 바로가기
2022.05.04순천향대 부천병원 성형외과 차한규 교수가 최근 열린 미국성형외과학회 100주년 학술대회에서 ‘최우수 논문상(James Barrett Brown Award)’을 수상..미국성형외과학회(AAPS) 최우수 논문상은 지난해 발표된 성형외과학 논문 중 가장 우수한 논문을 선정해 수여..차한규 교수 공동연구팀(서울아산병원 성형외과 홍준표 교수)은 주로 림프부종 초기 환자에게 적용하던 ‘림프관정맥문합술’이 중증 림프부종 환자에게도 치료 효과가 있고, 심각한 합병증인 봉와직염을 크게 줄인다는 사실을 밝혀내 중증 림프부종 환자 치료의 새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높은 평가를 받아..관련 기사 바로가기
2022.05.04천안병원 김지선 교수(정신건강의학과)가 코로나19 감염 관련 트라우마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VR) 치료기술 개발.. 김 교수의 연구는 최근 보건복지부가 공모한 ‘2022년 보건의료기술연구 개발사업’ 과제로 선정되어 연구비 18억원을 지원받아 향후 6년간 진행.. 김지선 교수는 우울증, 조울증,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불안장애 치료의 전문가이며, 특히 뇌파를 통한 감정조절 기전 연구에 정통하고 학술활동 성과도 뛰어나 전문분야에서 지금까지 발표한 SCI(E) 논문도 50여 편..관련 기사 바로가기
2022.05.04코로나19 확산 위험 있는 기존 검사 대신 ‘환자 혈액 이용해 안전하게 천식 진단’순천향대 부천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장안수 교수팀이 최근 환자 혈액에서 분리한 천식 바이오마커 ‘넥틴-4(Nectin-4)’를 이용해 천식 및 증상 악화를 진단하는 키트를 개발하고 국제 특허(PCT)를 출원했다.또, 진단 키트의 실효성을 입증하는 논문 ‘알레르기 및 면역학 관련 최신 특허: 천식 및 천식 악화를 진단하기 위한 정량적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 방법(IF 5.871)’을 ‘유럽 알레르기 임상면역학회지(Clinical and Translational Allergy)’에 발표했다.천식은 기침, 천명, 호흡곤란의 특징적인 증상과 기관지 확장제 반응, 기도과민성 검사로 진단한다. 그러나 최근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가 전 세계로 퍼지면서 기존의 천식 검사법은 의료진과 다른 환자들이 코로나19 감염 위험에 노출되는 단점이 있었다.이에 장 교수팀은 기존 검사법을 보완해 환자 혈액에서 분리한 천식 바이오마커 넥틴-4를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quantitative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을 일으켜 천식 및 증상 악화를 진단하는 키트를 개발했다. 새로운 진단지표로 사용된 넥틴-4는 유해 공기 오염물질 및 병원체에 자주 노출되는 폐기도 상피세포 표면의 단백질이다.장안수 교수는 “폐기도 상피는 외부 공기의 통로 역할을 한다. 실제 천식 환자의 혈장 넥틴-4 mRNA 수치가 대조군보다 천식 환자에서 더 높았다. 이번에 개발한 천식 진단 키트는 코로나19 뿐만 아니라, 새로운 호흡기 감염병이 출현하더라도 안전하게 천식과 증상 악화를 판단하는 검사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새 천식 진단 키트를 소개하는 이번 논문 발표는 진단 키트의 실효성을 높게 평가한 유럽 알레르기 임상면역학회지 편집장 ‘Cezmi Akdis’의 제안으로 이뤄졌다.관련 기사 바로가기
2022.04.26순천향대 스마트자동차학과 학생들의 전공실습 장면(사진=순천향대)2022.04.15.(금)순천향대, 모빌리티 산학협력 강화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만도, 엘지유플러스 등 국내 모빌리티 기업들과 산학협력 기반 구축미래 선도 산업 기술을 활용한 모빌리티 분야 산학 공동 연구개발, 기술사업화, 혁신 인재 양성 등 산학협력 강화 주요 언론 기사 보기▶ * 링크를 클릭하시면 팝업창으로 기사내용이 게시됩니다.
2022.04.20(왼쪽부터) 천안병원 오재상 교수와 순천향의생명연구원(SIMS) 이만열 교수오재상·이만열 교수는 최근 범부처 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이 공모한 재생의료 치료제 확보기술 개발 분야에서'급성 허혈성 뇌졸중 치료를 위한 동종 배아줄기세포 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의 전임상연구 개발' 과제가 최종 선정되었다고 밝혀.. 이번 선정으로 향후 4년간 약 18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관련 뉴스 바로가기
2022.04.05우리대학 의료과학과 김기영 교수 연구팀이 루게릭병 발병에 기여하는 신규 기전으로 원인 단백질인 FUS의 글루타치오닐화(Glutathionylation)를 발견하고, 이를 조절하는 효소로 ‘글루타치온-전이효소(GSTO)’를 발굴해 루게릭병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고 밝혔다. 루게릭병 환자의 신경세포에는 FUS 단백질을 포함하는 비정상적인 세포질 내 응집체가 많이 발견되는데, 이와 같은 원인 단백질 응집체가 축적되면 신경세포가 손상되어 퇴행을 일으킨다.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 원인 단백질이 어떻게 응집체를 형성하는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김 교수 연구팀은 액체-액체 상전이(Liquid-liquid phase separation)를 통한 FUS 단백질의 응집체 형성에 ‘글루타치오닐화’ 과정이 중요함을 새롭게 발견하고, 신규 조절인자인 글루타치온-전이효소가 FUS 단백질의 글루타치오닐화 조절을 통해 응집체 형성을 억제하여 신경세포 손상을 막을 수 있다는 사실을 초파리 모델과 생쥐 신경세포를 통해 세계 최초로 증명했다. 이 연구는 루게릭병의 발병 원인으로 알려진 FUS 단백질 응집체 형성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을 회복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발병기전과 신규 조절인자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루게릭병 환자의 신경세포에 축적된 비정상 단백질 형성을 조절할 수 있는 치료제 개발과 이를 검출하는 진단기기 개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Therapeutic modulation of GSTO activity rescues FUS-associated neurotoxicity via deglutathionylation in ALS disease models’라는 제목으로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 ‘Developmental Cell’ (IF=12.270, JCR 상위 3.66%)’에 22일 게재됐으며, 연구 성과 관련 국내 특허 등록(2건)과 미국과 일본에서 국제 특허 등록 절차가 진행 중이다. 김기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최초로 ‘글루타치오닐화’라는 새로운 단백질의 변형과정이 어떻게 루게릭병 발병과정에 관여하는지 정확한 기전을 규명하여 루게릭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며 “잠재적인 조절인자 및 약물 탐색을 위한 후속 연구와 효과적 치료제 개발 연구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우리대학 의료과학과 차선주 박사후 연수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이성수 박사가 공동 제1저자로, 한국뇌연구원 김형준 박사가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했으며, 교육부 BK21 FOUR 사업,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자지원사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그리고 한국뇌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했다.
2022.03.28▲ 김대근 교수 (사진= 순천향대 구미병원 제공)순천향대학교 부속 구미병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022년 AI바우처 지원사업’에 김대근 정형외과 교수 연구팀이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2022년 AI바우처 지원사업’은 의료기관, 중소·벤처/중견기업 등을 대상으로 단기간 내에 최적의 AI를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새로운 시장창출의 기회를 제공하는 정부 지원 사업으로, 특히 의료분야 대해서는 75개 내외 과제로 별도 선정했다.사업기간은 2022년 4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약 7개월이며, 선정된 과제에 대해서는 인건비, 솔루션비, 인프라 구축비 등 과제당 최대 3억원(총예산 980억원)의 연구비를 지원 받는다.이번 연구는 김대근 교수팀이 지역에서 최초로 X-ray 이미지를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 골반 주변 골절 진단 보조 솔루션을 개발할 예정이며,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고, CT와 같은 정밀검사가 필요한지에 대한 도움을 받는 것이 연구의 목표이다.김대근 교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연구로 추후 다른 인체부위로도 범위를 넓혀 가겠다“며, ”의료질 향상은 물론이며, 지역민들에게 건강한 삶과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라고 말했다.▶ 기사 바로가기 * 링크를 클릭하시면 팝업창으로 기사내용이 게시됩니다.
2022.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