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ONCHUNHYANG INDUSTRY-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왼쪽부터 권순효 교수, 이은정 교수, 서기원 교수, 김신애 교수, 권성순 교수) 신장내과 권순효 교수가 중견연구자 지원사업에 선정됐고,감염내과 이은정 교수, 정형외과 서기원 교수, 이비인후과 김신애 교수, 심장내과 권성순 교수가 생애 첫 연구지원사업에 선정됐다.관련 기사 바로가기 ‘중견연구’ 지원사업은 ▲박춘식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 ‘특발성 폐섬유화증의 세포외기질 형성과 관련된 EPB41L3의 역할 규명 및 제어기술 개발’, ▲이영구 정형외과 교수, ‘골수염 모델에서 3D 바이오프린팅을 이용한 AgNPs 혼합 골지지체의 치료 메커니즘 규명’‘우수신진연구’ 지원사업은 ▲이시형 안과 교수, ‘망막 오가노이드 유래 엑소좀을 활용한 녹내장 치료제 후보 물질 발굴’, ▲최서연 영상의학과 교수, ‘췌장 내 유두상 점액 종양 환자의 췌장암 발생 예측에 대한 표준화된 진단 예측 모델 개발’‘생애 첫 연구’ 지원사업은 ▲김웅빈 비뇨의학과 교수, ‘간질성 방광염·통증성 방광 환자의 소변 마이크로바이옴과 항균펩타이드 Human Beta Defensin 2의 관계 분석’, ▲백애린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 ‘집중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서 마이크로바이옴 영향 분석 및 치료 타깃 발굴’, ▲이지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들의 학교 준비도’, ▲이유민 소아청소년과 교수, ‘소아 기능성 장 질환과 마이크로바이옴의 관련성 분석’ 관련 기사 바로가기(왼쪽부터 배상호 교수, 이상미 교수, 정활림 교수, 강현숙 연구원) 중견연구과제는 ▲생분해성 고흡수성 폴리아크릴산나트륨-젤라틴 폴리머 이용 접착성 지혈제에 대한 전임상 연구(외과 배상호 교수), 우수신진연구과제는 ▲종양미세환경 기반 개인별 위암의 복막전이/재발 맞춤 치료를 위한 영상바이오마커 개발(핵의학과 이상미 교수), 생애첫연구과제는 ▲마이크로RNA 분석을 이용한 맞춤형 성조숙증 발생 예측모형 개발(소아청소년과 정활림 교수), 세종과학펠로우십 과제는 ▲노화성 난청에서 Granzyme B 유도 네크롭토시스 기전 연구(이비인후과 강현숙 연구원)관련 기사 바로가기
2022.03.03인체 세포, 조직, 장기를 재생시키는 첨단재생의학이 발전하면서 관련 임상 연구를 활성화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2020년 8월 ‘첨단재생의료·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첨단재생바이오법)’이 시행된 바 있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로부터 ‘첨단재생의료 실시기관’으로 지정받아야만 관련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보건복지부는 미래 핵심 의료기술인 첨단재생의료 분야의 임상연구 활성화, 산업발전, 기술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상급종합병원 27개소와 종합병원 7개소를 첨단재생의료 실시기관으로 선정했다. 이로써 순천향대 부천병원은 앞으로 ▲세포치료제 ▲조직공학제제 ▲유전자치료제 ▲첨단바이오융복합제제 등을 이용한 환자 치료와 임상 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 됐고, 신응진 순천향대 부천병원장은 “앞으로 우리 병원 연구진은 인체 세포 등을 이용한 첨단재생의료 연구를 활성화하고, 중증·희귀 난치 질환 치료법 및 의약품 개발에 힘쓸 것”이라며, “이를 통해 환자들의 치료 기회 확대 및 건강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첨단재생의료를 선도하는 병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또한 천안병원 길효욱 첨단재생임상연구지원센터장(신장내과)은 “현재 치료법이 없는 희귀·난치질환 환자들에게 첨단재생바이오기술을 활용한 수준 높고 다양한 치료기회가 제공될 수 있도록 임상연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22.02.25